🟦 2025 부산광역시 20대 청년지원정책 총정리
(청년수당, 월세지원, 창업, 자산형성 등 종합 안내)
✅ 1. 부산 청년희망지원금
📌 제도 개요
미취업 상태인 청년에게 구직활동을 위한 월 최대 50만 원 × 6개월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항목 내용
지원 대상 | 만 18세~34세 미취업자 중 부산시 거주 청년 |
소득 기준 |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
지원 금액 | 월 50만 원 × 6개월 (최대 300만 원) |
활용 범위 | 교통비, 식비, 도서 구입, 학원비 등 자유 사용 가능 |
기타 | 구직활동보고서 및 사후설문 등 필수 |
🔗 신청처: 부산청년플랫폼 – 희망지원금
📞 문의: 청년희망정책과 ☎ 051-888-7882
✅ 2. 부산 청년 월세지원사업
📌 제도 개요
자취 중이거나 독립 생활 중인 청년 1인 가구를 대상으로 월 최대 20만 원 × 12개월 지원
항목 내용
대상 | 만 19~34세 무주택 청년 / 부모와 주민등록 분리 필수 |
주택 조건 | 보증금 5천만 원 이하 / 월세 60만 원 이하 |
소득 요건 |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약 월 320만 원 이하) |
지원 금액 | 월 최대 20만 원 (총 240만 원) |
지급 방식 | 본인 계좌로 매달 입금 |
🔗 신청: 복지로 청년월세지원
📞 문의: 부산시 주거복지과 ☎ 051-888-4362
✅ 3. 청년 자기계발 지원 ‘청년두드림카드’
📌 제도 개요
취업 준비와 자기계발 중인 청년에게 학원비, 자격증 시험비 등 최대 100만 원 바우처 지원
항목 내용
대상 | 부산시 거주 만 19~34세 청년 중 미취업자 |
소득 기준 |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
지원금액 | 총 100만 원 바우처 (카드 포인트 형식) |
사용처 | 영어·컴퓨터 학원, 독서실, 공인시험 응시료 등 |
🔗 신청: 부산청년두드림카드
📞 문의: ☎ 051-888-4381
✅ 4. 부산청년 디딤돌 통장
📌 제도 개요
청년의 자립과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한 자율 저축 + 부산시 매칭 자산형성 사업입니다.
항목 내용
대상 | 만 19~34세 부산 거주 청년 중 근로소득자 |
소득 요건 | 월 소득 250만 원 이하 |
저축 방식 | 월 10만 원 × 3년 저축 → 부산시 1:1 매칭 지원 |
(총 720만 원 + 이자 수령) | |
조건 | 근로 지속 + 정해진 교육 프로그램 참여 필수 |
🔗 신청처: 부산청년플랫폼 / 각 구청
📞 문의: ☎ 051-888-4372
✅ 5. 부산 청년창업 지원사업
📌 제도 개요
부산시와 부산경제진흥원이 운영하는 청년 스타트업 육성 프로젝트
항목 내용
대상 | 만 19~39세 청년 창업가 또는 예비 창업자 |
지원 내용 | 창업공간 무상 임대, 창업교육, 창업자금(최대 2천만 원) |
지원 분야 | IT, 관광, 환경, 전통시장, 문화예술, 로컬비즈 등 |
운영기관 | 부산창업카페, 부산창업지원센터, 사상창업드림센터 등 |
🔗 신청: 부산경제진흥원 – 창업지원
📞 문의: ☎ 051-600-1815
✅ 6. 청년 마음건강 바우처 (심리상담 지원)
📌 제도 개요
정서적 지원이 필요한 청년을 위해 전문 심리상담을 무료로 제공하는 정책
항목 내용
대상 | 만 19~34세 부산 거주 청년 |
지원 내용 | 정신건강 전문기관 상담비 전액 지원 (최대 10회 이상) |
상담 방식 | 대면 또는 비대면(전화, 화상) 선택 가능 |
신청 방법 | 온라인 신청 후 담당기관에서 매칭 |
🔗 신청: 부산시청 – 마음건강 바우처
📞 문의: ☎ 051-888-3351
✅ 7. 청년 공동체 활동 지원
📌 제도 개요
**청년 커뮤니티(3인 이상 구성)**를 지원하여 문화, 사회참여, 공익활동 장려
항목 내용
대상 | 만 19~34세 청년으로 구성된 커뮤니티 |
지원 내용 | 모임활동비, 공간임대비, 콘텐츠 제작비 등 |
(최대 500만 원 지원) | |
지원 유형 | 프로젝트형, 커뮤니티형, 지역문제 해결형 등 |
🔗 신청: 부산청년플랫폼 공고 확인
📞 문의: ☎ 051-888-4385
✅ 8. 기타 생활밀착형 청년 서비스
서비스 내용 신청처
무료 면접정장 대여 | 부산일자리정보센터에서 정장 무료 대여 | https://www.busanjob.net |
청년 면접비 지원 | 중소기업 면접 시 1회 5만 원 × 최대 5회 | 부산일자리포털 |
청년 전세자금 이자 지원 | 부산시 보증금 대출 시 이자 연 최대 2.5% 지원 | 부산시청 주택정책과 |
✅ 정책별 요약표
정책명 대상 지원금 신청처
청년희망지원금 | 미취업 청년 | 월 50만 × 6개월 | 부산청년플랫폼 |
청년월세지원 | 무주택 청년 | 월 20만 × 12개월 | 복지로 |
두드림카드 | 자기계발 | 최대 100만 바우처 | 부산청년플랫폼 |
디딤돌통장 | 근로 청년 | 총 720만 원 | 부산청년포털 |
창업지원금 | 예비창업자 | 최대 2천만 원 | 부산경제진흥원 |
마음건강 바우처 | 전체 청년 | 상담비 전액 | 부산시청 |
공동체활동 지원 | 청년 모임 | 최대 500만 원 | 부산청년플랫폼 |
✅ 청년 정보 통합 플랫폼
포털명 주소 설명
부산청년플랫폼 | https://www.busan.go.kr/young/index | 모든 청년정책 한곳에서 확인 가능 |
부산일자리정보센터 | https://www.busanjob.net | 취업, 면접, 기업정보 제공 |
부산창업포털 | https://www.bepa.kr | 창업지원사업 운영 |
📞 부산시 청년 관련 통합 문의처
부서 전화번호
부산시 청년희망정책과 | ☎ 051-888-7882 |
주거복지과 (월세지원) | ☎ 051-888-4362 |
창업지원팀 (경제진흥원) | ☎ 051-600-1815 |
부산청년센터 | ☎ 051-304-4285 |
청년 심리상담 바우처 | ☎ 051-888-3351 |
✅ 마무리 TIP
- 부산시는 **‘부산청년플랫폼’**을 통해 청년지원금을 통합 관리하고 있습니다.
모든 청년정책은 https://www.busan.go.kr/young/index 에서 실시간 확인 가능합니다. - 정책마다 신청 기간이 다르며, 일부는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되니 공고 알림 신청을 해두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