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 기준 건강보험료 상위 10% 소득표

 

2025년 8월 기준 건강보험료 상위 10% 소득표

건강보험료 상위 10%라는 것은 전체 가입자(직장·지역가입자 포함) 중 소득(또는 보험료 부과 기준) 상위 10%에 해당하는 구간을 말합니다.
2025년 8월을 기준으로 조사된 개인·가구별 소득(연·월) 기준을 아래와 같이 정리했습니다.


핵심 요약

  • 개인(1인) 기준: 연소득 9천만9천500만 원, 월소득 약 770만790만 원
  • 1인 가구 기준: 연소득 5천만 원 이상, 월소득 약 420만 원 이상
  • 4인 가구 기준: 연소득 2억1천만 원, 월소득 약 1천700만 원
  • 직장가입자 월보험료: 약 45만 원 이상 납부 시 상위 10% 해당

※ 23인 가구의 경우 중위소득 대비 2.42.5배 수준이므로, 본인 가구원 수와 대조해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1. 개인(1인) 가입자 기준

구분 연소득 기준 (원) 월소득 기준 (원)

상위 10% 개인 90,000,000 ~ 95,000,000 7,500,000 ~ 7,900,000
  • 연봉 기준으로 보면 9천만~9천500만 원 정도 벌어야 상위 10%에 진입합니다.
  • 월급으로 환산하면 세전 약 770만~790만 원 선입니다.

2. 가구원수별 소득 기준

가구원수 연소득 기준 (원) 월소득 기준 (원) 비고

1인 50,000,000 이상 약 4,200,000 이상 1인 가구만 놓고 보면 상위 10% 경계선
2인 중위소득 대비 2.4~2.5배 중위소득(公통계) × 2.4~2.5배 수준
3인 중위소득 대비 2.4~2.5배 동일 방식 적용
4인 210,000,000 약 17,000,000 4인 가구 기준 상위 10% 성인 전체 합산
  • 1인 가구는 연 5천만 원 이상(월 420만 원)부터 상위 10% 구간에 듭니다.
  • 4인 가구는 연 약 2억1천만 원, 월 약 1천700만 원 이상이면 상위 10%에 진입합니다.
  • 23인 가구는 공공 통계에서 제시하는 중위소득(月 기준)을 2.42.5배 곱해 추정합니다.

3. 직장가입자 월 건강보험료 기준

가입 유형 월 보험료(2025.8 기준) 상위 10% 해당 여부

직장가입자 약 450,000원 이상 상위 10%
  • 직장가입자의 경우 납부하는 월 건강보험료가 45만 원을 넘으면 전체 직장가입자 중 상위 10% 구간에 해당합니다.
  • 본인 부담분만 따지는지, 회사·근로자 합산치인지 여부는 보험공단 고시를 확인하세요.

4. 활용 팁

  1. 내 소득 대비 구간 확인
    – 급여명세서 또는 연말정산·건강보험공단 조회를 통해 본인 보험료 구간과 소득 구간을 파악하세요.
  2. 가구 단위 비교
    – 가구원 수별 상위 10% 임계값을 기준으로 주택담보대출, 건강보험료 경감·감면 대상 여부를 검토할 수 있습니다.
  3. 정확한 수치 확인
    –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의 ‘보험료율 및 보험료 부과기준’ 고시에서 2025년 하반기(8~12월) 소득월액 기준 등급표를 대조하세요.
  4. 세금·복지 영향 점검
    – 상위 10% 구간에 속하면 건강보험 외에도 국민연금 보험료, 기초연금·건강보험료 경감 등 각종 사회보험·복지 혜택 산정 기준이 달라집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