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 국내 AI 챗봇 시장 동향 분석

2025년 8월 국내 AI 챗봇 시장 동향 분석

2024년 기준 한국 AI 챗봇 시장 규모는 약 1억 3,246만 달러에 달했으며, 2025년부터 2033년까지 연평균 20.41% 성장해 2033년 시장 규모는 7억 47만4,000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모바일 인프라 고도화와 메신저 플랫폼(카카오톡·네이버라인 등)의 확산이 시장 성장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1. 기술별 비교

AI 챗봇은 주로 세 가지 아키텍처로 나뉘며, 각 기술별 특징과 국내 적용 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기술 유형 특징 국내 주요 사례 및 공급사

룰 기반 (Rule-based) 사전에 정의된 플로우에 따라 질문 분기 및 응답 은행·공공기관 웹 챗봇, 간단 FAQ 자동화
검색 기반 (Retrieval-based) 사용자 입력과 유사한 문서·답변을 매칭해 제공 커머스 FAQ, 사내 지식검색 보조
생성형 LLM 기반 대규모 언어 모델을 활용해 자유 대화·문맥 이해, 신규 응답 생성 네이버클라우드 HyperCLOVA, SKT KoGPT, NC AI, LG AI연구원 모델 등

생성형 LLM 기반 챗봇은 특히 문맥 이해력과 유연한 대화 생성 능력을 바탕으로 금융·헬스케어·이커머스 부문에서 시범 도입 사례가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2. 기업별 전략

  1. 네이버클라우드
    • HyperCLOVA LLM을 기반으로 ‘클로바 챗봇’에 자유 대화 기능 추가
    • 자체 클라우드 인프라 연동으로 대용량 요청에도 안정적 서비스 제공
  2. SK텔레콤
    • KoGPT를 활용한 B2C 챗봇을 T월드·B tv 고객센터에 적용
    • 음성 합성·음성 인식 결합으로 AI 상담 품질 강화 추진
  3. NC AI
    • 게임·엔터테인먼트 특화 챗봇 솔루션 개발
    • 고객 문의 자동 응대와 사내 채용·교육용 챗봇에 적용 사례 확보
  4. LG AI연구원
    • 기업용 제너레이티브 AI 플랫폼에서 챗봇 모듈 제공
    • 멀티모달(문자·음성·이미지) 대화 지원으로 업무 자동화 범위 확대 준비

이들 기업은 국내 일반목적 GPT 개발 사업에 선정된 5개 팀 중 하나로, 정부 지원 하에 학습 데이터 구축과 GPU 인프라 확보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3. 향후 전망

  • 시장 규모 성장
    2025년 이후에도 연평균 20.41%의 고속 성장이 예상되며, 2033년까지 약 7억 달러 시장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
  • 산업별 확대
    금융·헬스케어·유통·이커머스 등 전통적 대면 상담 부문에서 챗봇 도입률이 상승하고, B2B·B2G(기업·공공) 영역으로 영역을 넓혀갈 전망입니다.
  • 기술 진화
    멀티모달 대화, 감정 인식, 실시간 음성 대화 등 사용자 경험을 강화하는 기능이 추가되며, ‘옴니채널 챗봇’으로 유·무선 상담 창구를 통합하는 방향으로 발전할 것입니다.
  • 정책적 지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국가대표 AI’ 개발 사업을 통해 국내 LLM 연구 역량이 강화되면서, 토종 챗봇 모델 고도화와 국산 AI 생태계 확장이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위 현황과 전망을 바탕으로 2025년 8월 현재 국내 AI 챗봇 시장은 기술 전환기 국면에 있으며, 생성형 AI 도입 확대와 산업별 맞춤형 솔루션 강화가 핵심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각 기업의 전략적 제휴, 공공·민간 프로젝트 사례를 지속 모니터링하며 분석을 업데이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