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기준, 기초생활수급자 대상 추경 예산은 생계급여·주거급여·교육급여 중심으로 확대되며, 생계급여는 10월 20일에 지급되고 주거급여는 자동 반영됩니다. 신청은 복지로 홈페이지(https://www.bokjiro.go.kr) 또는 주민센터에서 가능합니다.
🏛️ 2025년 10월 기초생활수급자 추경 예산 지급 일정 및 신청 방법 총정리
기초생활수급자는 정부가 생활이 어려운 국민에게 생계·주거·의료·교육 등의 기본적인 생활을 보장하기 위해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2025년 10월에는 정부의 추경 예산 편성에 따라 기초수급자 대상 복지 혜택이 확대되었으며, 지급 일정과 신청 방법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 1. 2025년 추경 예산 개요
- 편성 시기: 2025년 9월 국회 통과
- 총 예산 규모: 약 3조 5천억 원
- 기초생활수급자 지원 항목:
- 생계급여 인상
- 주거급여 확대
- 교육급여 보완
- 긴급복지 확대
- 에너지 바우처 연계
※ 추경 예산은 물가 상승, 에너지 비용 증가, 주거비 부담 확대 등을 고려해 편성됨
🗓️ 2. 10월 지급 일정
✅ 생계급여
- 지급일: 2025년 10월 20일(월)
- 지급 방식: 계좌 자동 입금
- 지급 대상: 생계급여 수급자 전체
※ 추석 조기 지급은 2025년에는 시행되지 않음
✅ 주거급여
- 지급일: 2025년 10월 27일(월)
- 지급 방식: 계좌 자동 입금
- 지급 대상: 주거급여 수급자 전체
- 변경 사항:
- 수도권 1인 가구 기준 월 30만 원 → 33만 원 상향
- 차상위 월세 지원 신설: 월 최대 15만 원 보조
✅ 교육급여
- 지급일: 학교별 상이 (10월 중순~말)
- 지급 대상: 중·고등학생 자녀를 둔 수급자
- 지급 항목: 학용품비, 교과서비, 입학금 등
🧾 3. 신청 방법
📍 온라인 신청
- 복지로 홈페이지: https://www.bokjiro.go.kr
- 신청 항목: 주거급여 신규 신청, 차상위 월세 지원, 긴급복지 등
- 필요 서류:
- 주민등록등본
- 소득·재산 증빙자료
- 임대차계약서 (주거급여 신청 시)
📍 오프라인 신청
-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 방문
- 상담 후 서류 제출
- 신청 후 1~2주 내 심사 및 지급 결정
👥 4. 지원 대상 기준
항목 기준
생계급여 | 중위소득 30% 이하 |
주거급여 | 중위소득 46% 이하 |
교육급여 | 중위소득 50% 이하 |
차상위 월세 지원 | 중위소득 50~60% 이하, 주거급여 미수급자 |
※ 중위소득 기준은 가구원 수에 따라 달라지며, 2025년 기준 1인 가구는 약 65만 원 이하
💰 5. 추경 예산 주요 변경 사항
🔹 생계급여 인상
- 1인 가구 기준 월 62만 원 → 65만 원
- 4인 가구 기준 월 138만 원 → 145만 원
🔹 주거급여 확대
- 수도권 기준 임대료 상한 인상
- 전세보증금 융자 한도 2,000만 원 → 4,000만 원
🔹 차상위계층 신규 지원
- 월세 지원 신설
- 에너지 바우처 자동 연계
📞 6. 문의처 및 공식사이트
- 복지로 고객센터: 129
- 보건복지부 대표번호: 044-202-2000
- 복지로 홈페이지: https://www.bokjiro.go.kr
- 지자체 복지과: 주소지 주민센터
📌 7. 유의사항
- 자동 지급 항목과 신청 항목 구분 필요
- 생계·주거급여는 자동 반영
- 차상위 월세 지원, 긴급복지 등은 신청 필수
- 소득·재산 기준 완화로 이전 탈락자도 재신청 가능
- 에너지 바우처 연계 여부 확인 필수
📈 8. 향후 전망
- 2026년부터 생계급여 기준 중위소득 35%로 상향 예정
- 주거급여 대상 확대 검토 중
- 복지멤버십 자동 안내 시스템 강화
기초생활수급자 대상 추경 예산은 단순한 금전 지원을 넘어 주거 안정, 교육 기회, 생활비 부담 완화를 위한 종합적 복지 정책입니다. 10월 지급 일정과 신청 방법을 정확히 확인하고, 필요한 항목은 반드시 신청하시길 권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