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후 확정일자 받는 TIP
이사후 확정일자 왜 받아야 할까?
전세금 월세금 보증금을 지키기 위해서는 계약 후, 확정일자를 발급 받아야지만 우선 변제권을
확보 할수 있다
만약, 경매가 진행될경우 배당(낙찰 금액으로 돈을 받아야 할 사람들에게 돈을 분배해줌)
을 받게 되는데 이 확정일자가 있어야만 배당을 받을수 있는 자격이 된다는 것이다.
돈받을 사람대기줄에 설수 있는 자격을 주는 것
이사후 확정일자 24시간 신청은 어떻게 하나요?
1. 이사후 확정일자 컴퓨터로도 받을 수 있다.
대법원 인터넷 등기소에 들어가면 회원가입하고 로그인해서 확정일자 매뉴에 들어갈수 있다.
이때 신청하기를 누르고 오른쪽하단 신규를눌러서 계약 정보를 입력하면 된다.
TIP
신청은 365일 가능하나 평일업무시간기준으로 3시간이내로 업무를 처리하므로
빠르게 확정일자를 받고 싶으면 평일 16시 이전에 신청하는것이 좋다.
미리 준비 해야 할것은? 첨부할 신분증과 임대차 계약서를 업로드 해야 하므로 미리 준비해야 한다.
수수료는 500원이 든다.
2. 이사후 확정일자 모바일로도 받을 수 있다.
먼저 스마트하우스-확정일자 (임대차)신고, 임대관리앱을 설치하고
회원가입을 하자
그리고 임대차 (확정일자)를 신고하고 하단 버튼 클릭
확인 및 유의사항을 읽는다.
수수료는 5500원에서 8800원이다.
3. 직접가서 받을수도 있다.
반려나 재신청 없이 확실하게 발급받고 싶다면 직접방문해서 발급받자
가까운 동사무소(주민센터) 혹은 등기소를 찾자 (이사당일 주민센터에 간다면 전입신고와
함께 하면 편하다)
필요한 서류(신분증, 임대차 계약 원본, 수수료)를 챙겨가자 (수수료는 카드결제, 현금 모두다 가능하다)
업무시간이 평일 9시에서 6시이니 맞춰서 방문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