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료 상위 10% 기준과 소득 구간별 비교
건강보험료 상위 10%는 최근 12개월 평균 보험료 납부액을 기준으로 전체 가입자 중 상위 10%에 해당하는 구간입니다.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별로 기준이 다르며, 연소득·재산·가구 구성 등을 종합해 산정합니다.
1. 상위 10% 기준 요약
- 직장가입자 월평균 보험료: 40만~45만 원 이상
- 지역가입자 월평균 보험료: 45만~50만 원 이상
이 구간에 속하는 가입자들은 전체 보험료 수입의 약 **37%**를 부담합니다.
2. 소득 구간별 보험료 납부액 비교
아래 표는 보험료 기준에 따른 대략적인 소득·보험료 구간을 10개 구간(10분위)으로 나눠 정리한 예시입니다. 실제 개인별 보험료는 연봉 외에도 재산, 자동차, 가입자 유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분위(%) | 연소득(추정) | 직장가입자 월평균 보험료 | 지역가입자 월평균 보험료 |
---|---|---|---|
상위 1% | 1.8억 원 이상 | 60만 원 이상 | 65만 원 이상 |
상위 5% | 1.3억 원 이상 | 50만 원 이상 | 55만 원 이상 |
상위 10% | 1.0억 원 이상 | 40만~45만 원 이상 | 45만~50만 원 이상 |
상위 20% | 7,000만 원 이상 | 30만 원 이상 | 35만 원 이상 |
상위 30% | 5,000만 원 이상 | 25만 원 이상 | 28만 원 이상 |
상위 40% | 4,000만 원 이상 | 20만 원 이상 | 22만 원 이상 |
상위 50% | 3,000만 원 이상 | 15만 원 이상 | 18만 원 이상 |
상위 60% | 2,500만 원 이상 | 12만 원 이상 | 14만 원 이상 |
상위 70% | 2,000만 원 이상 | 10만 원 이상 | 12만 원 이상 |
하위 30% | 2,000만 원 미만 | 10만 원 미만 | 12만 원 미만 |
주의: 위 표는 대표적 분포를 예시로 제시한 것이며, 실제 보험료 구간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매년 6~7월 고지 기준에 따라 달라집니다.
3. 상위 10% 확인 방법
-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 로그인 → ‘보험료 부과내역 조회’ → 최근 12개월 평균 보험료 확인
- 건강보험 스마트 알리미 앱
- 가입자 유형·월별 납부액을 자동 계산해 줌
- 회사 연말정산 내역(직장가입자)
- 급여명세서에서 ‘건강보험료’ 항목 확인
4. 활용 & 주의사항
- 정책 지원 제외: 재난지원금·민생지원금 등에서 상위 10%는 지원 대상에서 배제 또는 축소될 수 있습니다.
- 소득 재분배 기능: 상위 10%가 전체 보험료의 37%를 부담해 저소득층 의료비 보조에 기여합니다.
- 정확한 구간 파악: 가족 합산 소득, 재산·자동차 보유액까지 반영되므로 단순 연봉만으로 분위를 판단하지 마세요.
5. 결론 및 팁
- 자신의 월납부 보험료가 40만 원 이상(직장가입자), **45만 원 이상(지역가입자)**이라면 상위 10%에 속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 소득·재산 변동이 많은 프리랜서·자영업자는 중간에 보험료 구간이 바뀔 수 있으니, 고지서·앱을 통해 주기적으로 확인하세요.
아래 공식 경로에서 건강보험료 납부내역을 조회하고, 상위 10% 구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국민건강보험공단 보험료 부과내역 조회
https://www.nhis.or.kr - 건강보험 스마트 알리미 앱
• Android: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kr.go.nhis.smart
• iOS: https://apps.apple.com/kr/app/nhis-info/id1441310051 - 정부24 복지서비스 신청 (복지·의료급여 등 통합조회)
https://www.gov.kr/portal/service/serviceInfo/PTR000050333
위 사이트에 접속해 로그인 후 ‘보험료 부과내역 조회’ 메뉴에서 최근 12개월 평균 보험료와 분위별 구간을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