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표는 농어촌 지역 거주자 및 귀농·귀촌인을 대상으로 자주 활용되는 ‘특별 보조금·지원 사업’을 한눈에 정리한 것입니다. 신청 대상·지원 내용·신청 방법과 함께, 꼭 참고할 공식 사이트를 함께 안내합니다.
프로그램명 지원 대상 지원 내용 신청 방법 공식 사이트
귀농·귀촌 초기정착 지원금 | 최근 5년 내 농어촌에 전입한 예비·기존 귀농·귀촌인 | 이주·정착·영농 준비 자금 최대 1,000만 원 지원 | 시·군 농업기술센터 방문 또는 귀농귀촌종합센터 온라인 신청 | https://www.returnfarm.com |
청년 농어업인 영농정착 지원 | 만19~39세 청년 귀농·귀촌인 | 영농장비 구입·영농교육비·정착지원금 최대 3,000만 원 | 시·도 농림부서 온라인 접수 또는 우편 접수 | https://www.mafra.go.kr |
농촌주택 개량사업 | 농촌지역 내 저소득·노후 주택 소유자 | 주택 보수·단열·위생시설 개량비용 최대 500만 원 지원 | 읍·면사무소 방문 신청 | https://www.mafra.go.kr |
농어촌 생활용수개발 지원 | 농어촌 주민 전체 | 상수도 설치·노후관 교체·정수장비 설치비용 70% 보조(최대 2,000만) | 시·군 주민센터 또는 군·구청 농어촌담당 부서 신청 | https://www.rda.go.kr |
농촌공동체 활성화(마을만들기) | 농촌마을 주민 단체 | 마을회관 신축·경관조성·공동체 프로그램 운영비 최대 2억 원 지원 | 농림축산식품부 공모사업 → 온라인 접수 | https://www.mafra.go.kr |
농산어촌 융·복합산업 활성화 지원 | 농식품 가공·체험·관광 등 복합사업 운영 기업 | 시설장비 구입비·마케팅비용 최대 5,000만 원 바우처 지원 | aT(농수산물유통공사) 온라인 접수 | https://www.at.or.kr |
–––
• 귀농귀촌종합센터(returnfarm.com)는 이주·정착 단계별 지원 정보를 통합 제공하며, 온라인 상담·서류 템플릿도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 농림축산식품부(mafra.go.kr) 공고문에서 연도별·차수별 세부 지원 요건과 예산 규모를 반드시 확인하세요.
• 농촌진흥청(rda.go.kr)은 생활용수·농업기술 지원, 지역 농업 연구 성과 보급사업 안내를, aT(at.or.kr)는 가공·유통 바우처 공고를 집중 운영합니다.
위 표를 참고해 본인 상황에 맞는 사업을 확인하고, 해당 부처·지자체 홈페이지에서 지원 요건·일정을 꼭 재확인한 뒤 신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