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특보별 단계별 대처법
태풍이 어느 단계에 있는지에 따라 대응 방법이 달라집니다.
‘주의’→‘경계’→‘심각’ 단계별로 해야 할 핵심 행동을 아래와 같이 정리했습니다.
1. 주의 단계 (기상주의보 발효 시)
• 방송·앱 경보 수신
- 기상청, 지자체 재난문자 수신 설정
- 기상청 날씨누리 앱 실시간 정보 확인
• 안전 공간 사전 확보
- 집 안에서 가장 튼튼한 내부 공간(욕실·복도) 파악
- 창문·유리문 주변 위험 물건 제거
• 비상용품 점검
- 생수·통조림 등 3일분 이상 보충
- 손전등·휴대용 충전기·비상약 상시 준비
• 대피 경로·연락망 확인
- 가족·이웃과 비상연락망 공유
- 가까운 대피소 위치·이동 경로 미리 숙지
2. 경계 단계 (기상경보 발효 시)
• 외출 자제 및 전력 차단
- 가급적 외출 전 환풍·가스밸브·전기 차단
- 누전 차단기 정상 작동 여부 재확인
• 창문·지붕 보강
- 창문 틈새 방수테이프·실란트 활용
- 가벼운 외부 물건(화분·쓰레기통) 모두 실내로 이동
• 차량·가전기기 보호
- 지하주차장·벽면 밀착 주차
- TV·PC 등 전자제품 플러그 분리
• 임시 대피 준비
- 차량 이동 경로 확인(침수 우려 지역 회피)
- 응급용 구급상자·현금·핸드폰 보조배터리 상비
3. 심각 단계 (태풍 비상·심각 특보 발효 시)
• 즉시 내부 안전지대로 대피
- 견고한 실내 중앙부(기둥 근처·내부 복도) 이동
- 창문과 거리를 최대한 확보
• 구조 당국 지시 엄수
- 경찰·소방·지자체 방송 안내에 즉각 응답
- 밖으로 나오는 구조 요청 시앵
• 통신·전력 장애 대비
- 휴대폰 배터리 100% 유지, 비상용 보조배터리 연결
- 무전기·휴대용 라디오 등 대체 통신기 준비
• 피해 최소화 후 복구 준비
- 태풍 소멸 후 1시간 뒤 외부 점검
- 누수·기물 파손 사진 촬영 → 보험 청구 자료 확보
Tip: 각 단계에서 실행한 준비 사항은 다음 단계에서 반드시 확인·보완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주의 단계’에 확보해둔 비상용품이 ‘경계 단계’에 전력 차단으로 접근이 어려울 수 있으니, 항상 손이 닿는 곳에 배치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