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기·부산 지역별 출산축하금 비교표 (2025년 기준)

2025년 기준, 서울·경기·부산 지역의 출산축하금(출산장려금) 지급 내용을 지자체별로 비교한 표입니다.

⚠️ 출산축하금은 지자체 조례에 따라 매년 금액과 대상, 지급 방식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출산 예정일 또는 신고일 기준 최신 정보를 참고해야 합니다.


👶 서울·경기·부산 지역별 출산축하금 비교표 (2025년 기준)

지역 자치구/시 첫째아 둘째아 셋째아 이상 지급 방식 비고

서울 강남구 30만 원 50만 원 100만 원 현금 (계좌 지급) 출생일 기준 1년 이내 신청
송파구 30만 원 50만 원 100만 원 현금 거주 6개월 이상 필요
양천구 20만 원 30만 원 50만 원 상품권 출산 전후 신청 가능
동작구 20만 원 30만 원 100만 원 현금 둘째부터 지원 증가
중구 ❌ 없음 ❌ 없음 100만 원 (셋째 이상) 현금 셋째 이상만 지원
전체 평균 약 20만~30만 원 약 40만 원 최대 100만 원 대부분 현금 구마다 차이 큼

지역 자치구/시 첫째아 둘째아 셋째아 이상 지급 방식 비고

경기 수원시 30만 원 50만 원 100만 원 현금 거주 6개월 이상 조건
성남시 ❌ 없음 30만 원 100만 원 현금 셋째 이상은 출산장려금 외 자녀양육지원금 별도
고양시 50만 원 70만 원 100만 원 현금 신청일 기준 6개월 이상 거주
용인시 30만 원 50만 원 100만 원 지역화폐 출산일로부터 6개월 내 신청 필수
시흥시 50만 원 100만 원 300만 원 지역화폐 (시루) 전국 최고 수준
평균 약 30만~50만 원 약 70만 원 최대 300만 원 대부분 지역화폐 출산축하금 + 양육수당 분리 지급 지역도 있음

지역 자치구/시 첫째아 둘째아 셋째아 이상 지급 방식 비고

부산 해운대구 100만 원 150만 원 200만 원 현금 거주 6개월 이상 조건
사하구 30만 원 50만 원 100만 원 지역화폐 1년 내 신청 필수
연제구 20만 원 40만 원 80만 원 현금 출산등록 필수
북구 50만 원 100만 원 150만 원 현금 또는 상품권 자녀 출생 직후 신청 권장
동래구 30만 원 50만 원 100만 원 현금 주민등록 기준

✅ 정리 요약

구분 서울 경기 부산

평균 첫째아 20만~30만 원 30만~50만 원 30만~100만 원
평균 둘째아 40만~50만 원 50만~100만 원 50만~150만 원
셋째 이상 100만 원 전후 100만~300만 원 100만~200만 원
지급 형태 현금/상품권 현금/지역화폐 현금/지역화폐
신청 조건 출생신고 + 거주요건 출생신고 + 거주요건 출생신고 + 거주요건

✅ 신청 방법 (공통)

  1. 출산 후 출생신고 완료
  2. 거주지 주민센터 방문 또는 정부24 온라인 신청
  3. 제출 서류:
    • 신청서
    • 신분증
    • 가족관계증명서
    • 출생증명서(의료기관 발급)
    • 통장사본

✅ 확인 포인트

  • 📍 대부분 **”신청일 기준으로 일정 기간 이상 거주 요건(3개월~6개월)”**이 있음
  • 📍 지역화폐 지급 시 앱 설치 후 등록 필요 (예: 시흥시 ‘시루’, 고양시 ‘고양페이’ 등)
  • 📍 일부 지역은 중복 지원 제한 (예: 정부의 첫만남이용권과 중복 불가 등)

📞 지역별 문의처 예시

지역 대표 번호

서울 다산콜센터 ☎ 120
경기도 콜센터 ☎ 031-120
부산시청 출산지원팀 ☎ 051-888-1561
정부24 콜센터 ☎ 1588-2188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