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 자산 추적 기술 완벽 비교: BLE · Wi-Fi · UWB · RFID · QR코드/바코드
실내 환경에서 자산(장비·물품·인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려면 위치 정확도, 운영 비용, 설치 난이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본문에서는 다음 6가지 대표 기술을 원리·정확도·범위·비용·인프라·장단점·추천 적용 분야 관점에서 비교·분석합니다.
- BLE(Beacons)
- Wi-Fi 기반 RTLS
- UWB(Ultra-Wideband)
- RFID(Radio Frequency ID)
- QR코드 · 바코드
1. 주요 평가 기준
- 위치 정확도: 단위(cm~m)
- 추적 범위: 수십 m 이내부터 전 구역 커버까지
- 배터리/전원: 배터리 교체 주기·전원 필요 여부
- 인프라 설치 난이도: 리더·코너·액세스포인트 수
- 구축·운영 비용: 초기 투자 vs 유지관리 비용
- 실시간성: 실시간 모니터링(RTLS) 가능 여부
- 스케일링: 수천 개 태그 동시 관리 가능 여부
2. BLE(Beacons)
- 원리: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E) 비콘이 주기적 광고(Advertisement)를 전송 → 스마트폰·리더가 RSSI 수신 후 거리 추정
- 위치 정확도: 2~5m (추정), AoA 방식 적용 시 1m 이하 가능
- 범위: 가시거리 30~50m
- 배터리: 코인셀 배터리 6~24개월
- 인프라: 비콘 수십~수백 개 설치, 데이터 수집용 게이트웨이(허브) 필요
- 비용: 비콘 개당 5~15달러, 게이트웨이·플랫폼 별도
- 장점
- 설치·운영이 상대적으로 간단
- 스마트폰 연동 쉬움
- 저전력 소모
- 단점
- 실내 장애물에 따른 RSSI 변동성 큼
- 대량 태그 동시 관리 시 잡음 발생
- 추천 적용 분야: 쇼핑몰 내 고객 동선 분석, 사무실·병원 자산 대여 관리
3. Wi-Fi 기반 RTLS
- 원리: 자산에 Wi-Fi 태그(또는 디바이스)를 장착 → AP(액세스포인트) 간 RTT(Round-Trip Time) 혹은 RSSI 기반 삼각측량
- 위치 정확도: 35m (RTT 적용 시 12m)
- 범위: 기존 사내 Wi-Fi 커버리지와 동일(50~100m)
- 배터리: Wi-Fi 태그는 배터리 소모가 커서 1~3개월
- 인프라: 추가 AP 설치보다는 기존 네트워크 활용 가능
- 비용: 태그 10~20달러, 추가 AP 설치·라이선스 비용
- 장점
- 별도 인프라 최소화
- 대규모 환경에 신속 적용
- 단점
- 전력 소모 큼
- 정확도는 UWB·RFID에 비해 낮음
- 추천 적용 분야: 물류창고 피킹 최적화, 대규모 사무실 자산 위치 파악
4. UWB(Ultra-Wideband)
- 원리: 초광대역 펄스를 이용해 ToF(Time of Flight) 측정 → 절대 거리 계산
- 위치 정확도: 10~30cm (고정밀)
- 범위: 10~50m (장애물 없는 공간)
- 배터리: 태그당 6~12개월 (저전력 UWB 칩셋 적용 시)
- 인프라: 앵커(리더) 4~6개 이상 설치해 실시간 위치(3D) 측정
- 비용: 태그 3050달러, 앵커 150300달러, 위치 서버·SW 라이선스
- 장점
- 최고 수준의 실시간·고정밀 위치 추적(RTLS)
- 멀티 태그 동시 측정 안정성
- 단점
- 초기 인프라 투자비·설치 난이도 높음
- 벽·금속에 의한 NLoS(비시야) 영향
- 추천 적용 분야: 병원 장비 실시간 위치, 대형 제조공장 생산설비 관리, 물류 자동화 로봇 안내
5. RFID(Radio Frequency ID)
- 원리: 수동(Passive) 또는 능동(Active) RFID 태그가 리더에서 방출된 전자파를 수신 → 반사된 신호로 식별·거리 추정
- 위치 정확도:
- Passive: 수 cm~10m (리더 종류별)
- Active: 10~100m
- 범위: 수 cm부터 100m 이상(Active)
- 배터리:
- Passive 태그는 무전원
- Active 태그는 1~5년 배터리
- 인프라: 리더·안테나 설치, 게이트웨이(백홀)
- 비용:
- Passive 태그 0.05~0.5달러
- Active 태그 5~15달러
- 리더 300~1,500달러
- 장점
- 태그 비용 저렴(Passive)
- 비접촉·다수 동시 판독(anti-collision)
- 단점
- 실시간 위치(RTLS) 구현 복잡
- 정확도는 태그·리더 배치에 크게 의존
- 추천 적용 분야: 유통·창고 출입 감지, 생산공정 부품 식별, 도서관·자산 대차 관리
6. QR코드 · 바코드
- 원리: 태그 없이 포착 가능한 2D(QR) / 1D(바코드) 이미지 스캔
- 위치 정확도: 스캔 위치 기준(수 cm)
- 범위: 카메라 시야 내
- 배터리: 스캐너 전원
- 인프라: 라벨 출력·부착, 스캐너(모바일 앱·핸드스캐너)
- 비용: 라벨 인쇄비·스캐너 50~300달러
- 장점
- 매우 저비용, 즉시 도입 가능
- 태깅·조회 방식으로 단순 자산 대장 관리
- 단점
- 수동 스캔 필요 → 실시간성 불가
- 대량 동시 판독 어려움
- 추천 적용 분야: 시설 점검·정기 재고 조사, 임시 자산 대여·반납 관리
7. 종합 비교 테이블
기술 정확도 범위 배터리 인프라 난이도 비용 수준 실시간성 주요 장점
BLE | 2~5m (AoA 1m) | 30~50m | 6~24개월 | 중 | 낮~중 | O | 저전력·스마트폰 호환 |
Wi-Fi | 35m (RTT 12m) | 50~100m | 1~3개월 | 낮 | 중 | O | 기존 네트워크 활용 |
UWB | 10~30cm | 10~50m | 6~12개월 | 높음 | 높음 | O | 고정밀·안정적 RTLS |
RFID | cm10m(P);10100m(A) | Up to 100m | P: 무전원 A: 1~5년 |
중~높음 | P: 낮 A: 중 |
△ (게이트) | 태그 저비용·다수 판독 |
QR/바코드 | 스캔 위치 기준 | 카메라 시야 | 스캐너 전원 | 매우 낮 | 매우 낮 | X | 초저비용·간편 도입 |
8. 적용 사례별 추천 가이드
- 고정밀 실시간 관리: UWB
대형 물류센터 로봇 안내, 병원 응급장비 위치 파악 - 저비용 다중 식별: RFID Passive
도서관·공구 대여, 생산 부품 바코드 대체 - 스마트폰 연동 간편 추적: BLE
전시장 안내, 쇼핑몰 고객 동선 실시간 분석 - 기존 네트워크 활용: Wi-Fi RTT
사무실 책상·노트북 분실 방지, 대규모 창고 피킹 시스템 - 정기 조사·간헐 스캔: QR/바코드
창고 주기 재고조사, 시설 점검 체크리스트
9. 결론
선택 편의성을 높이려면 정확도 요구 수준, 실시간성 여부, 예산 규모, 기존 인프라 활용 가능성 네 가지 기준을 우선 고려하세요.
- 1cm 단위 추적이 필요하다면 UWB
- 태그 단가 절감이 중요하다면 RFID Passive
- 구축 난이도를 최소화하려면 QR/바코드
- 스마트폰 기반 간편 추적이면 BLE
- 기존 Wi-Fi 인프라가 탄탄하다면 Wi-Fi RTT
각 기술의 강점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솔루션 도입도 점차 확산 중입니다. 예컨대 출입·통과 감지는 RFID, 상세 실내 위치는 UWB로 이원화하면 비용·정확도를 동시에 잡을 수 있습니다.
아래 표에 실내 자산 추적 주요 기술별로 참고할 만한 공식 사이트와 한눈에 이해하기 쉬운 요약을 정리했습니다.
기술 공식 사이트 한줄 설명
BLE | https://www.bluetooth.com | 저전력 블루투스로 2~5m 내 자산 위치 추적 |
Wi-Fi RTLS | https://www.wi-fi.org | 기존 와이파이망 활용해 1~5m 오차로 위치 측정 |
UWB | https://www.firaconsortium.org | 초광대역 펄스로 10~30cm 초정밀 위치 파악 |
RFID | https://www.gs1.org/epcglobal | 무전원·저비용 태그로 물품 식별 및 위치 인식 |
QR/바코드 | https://www.gs1.org | 카메라 스캔으로 간단하게 자산 정보 조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