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청소년 우울증 초기 상담이 가능한 주요 서비스 및 기관 안내

어린이·청소년 우울증 초기 상담이 가능한 주요 서비스 및 기관 안내

아이가 우울 증상을 보일 때, 조기에 전문적인 상담을 받는 것이 회복의 핵심입니다. 아래에 비용 부담 없이 이용할 수 있는 초기 상담 채널을 분야별·대상별로 정리했습니다.

구분 서비스명 대상 상담 방식 비용 운영 시간 공식 사이트
지역 센터 정신건강복지센터 전 연령 아동·청소년·성인 대면·전화 상담 무료 평일 09:00~18:00 https://www.mindvvh.or.kr
보건소 보건소 소아·청소년 정신건강 상담 관할 지역 거주 어린이·청소년 대면 상담 무료 지자체별(평일 09:00~18:00) 각 자치구 보건소 홈페이지 (예: https://health.seoul.go.kr)
학교 기반 Wee 센터(초·중·고교) 재학생 대면 상담 무료 등교일 상담시간 학교 상담실 또는 교육지원청 홈페이지
전화 상담 국번 없이 129 “정신건강상담전화” 전 연령 전화 무료 24시간 https://www.mindvvh.or.kr/braincounsel
청소년 전용 1388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전화상담” 만 9~24세 청소년 전화·채팅 상담 무료 24시간 https://www.kyci.or.kr/1388
온라인 상담 마인드카페·마음e음 플랫폼 전 연령 실시간 채팅·게시판 상담 무료 24시간(게시판), 평일 채팅 시간 별도 https://www.mindcare.or.kr (마인드카페)
국립 전문 기관 국립정신건강센터 지역센터 전 연령 대면·전화 상담 무료 평일 09:00~18:00 https://www.ncmh.go.kr
어린이 전문병원 소아청소년정신건강복지센터 (서울대학교·세브란스 등) 전 연령 대면 진료 전 상담 건강보험 본인부담 병원별 상이 서울대어린이병원 https://child.snuh.org

1. 지역 정신건강복지센터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 주요 역할: 우울·불안·스트레스·자해·자살위험 등 모든 정신건강 문제에 대해 초기 상담 및 사례관리
  • 이용 방법
    1. 홈페이지(https://www.mindvvh.or.kr) 접속
    2. ‘지역센터 찾기’에서 거주지 인근 센터 검색
    3. 전화 예약 또는 방문 접수
  • 비용: 전액 무료
  • 문의·예약: 전화 또는 온라인 예약(사이트 내 게시판)

2. 보건소 소아·청소년 정신건강 상담

  • 주관: 각 시·군·구 보건소
  • 서비스:
    • 초기 심리검사(CDI 등)
    • 전문 상담사·정신건강 전문의 연계
    • 가정방문·학교연계 사례관리
  • 이용 방법
    1. 거주지 보건소 홈페이지 또는 콜센터(예: 서울시 120) 문의
    2. 방문 예약 후 1차 상담
  • 비용: 무료
  • 공식 사이트: 서울시 보건소 https://health.seoul.go.kr

3. 학교 Wee 센터

  • 대상: 초·중·고 학생
  • 역할
    • 우울·따돌림·학업 스트레스 초기 상담
    • 또래 집단 상담 및 또래지지 프로그램 운영
    • 필요 시 전문 기관(정신건강복지센터·병원) 연계
  • 이용 방법
    1. 담임교사·상담교사에게 직접 신청
    2. 교육지원청·교육청 홈페이지를 통해 가까운 센터 조회
  • 비용: 무료

4. 전화 상담 (24시간 무료)

  1. 국번 없이 129 정신건강상담전화
    • 우울·불안·자살 위험·가족 갈등 등 전 연령 대상
    • 전문 상담사가 실시간 대응
    • 상담 기록 비밀 보장
  2. 1388 청소년상담복지센터
    • 만 9~24세 청소년 대상
    • 전화(1388)·문자·SNS·채팅 상담
    • 학교폭력·가정문제·학업 스트레스 전문 지원

5. 온라인 상담 플랫폼


6. 국립정신건강센터 지역센터

  • 서비스:
    • 지역별 순회 상담·찾아가는 정신건강 서비스
    • 고위험군 집중 사례관리
  • 예약 방법
    1. 홈페이지 접속(https://www.ncmh.go.kr)
    2. ‘지역센터’ 메뉴 → 가까운 센터 연락처 확인
    3. 전화 예약 후 내원

7. 어린이·청소년정신건강복지센터 (전문병원 내)

  • 운영 병원:
  • 이용 방법
    1. 각 병원 홈페이지 또는 전화로 1차 진료 예약
    2. 접수 후 초기 예진·상담 진행
    3. 필요 시 심리검사·약물치료·치료 프로그램 연계
  • 비용: 건강보험 적용, 본인부담금 10~20% 수준

■ 이용 전 체크리스트

  1. “아이가 최근 2주 이상 우울·무기력 행동을 보였는지” 스스로 점검(CDI 자가검진 활용)
  2. 상담기관 연락처 및 운영 시간 미리 확인
  3. 상담 전 아이의 증상·행동 변화를 메모로 정리
  4. 부모·교사·의료진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가족 상담 여부 파악

위 기관들은 대부분 무료 또는 건강보험 적용으로 초기 상담을 제공하므로, 어린이·청소년의 우울 증상이 의심될 때 지체 없이 문의하시길 권장합니다. 가정과 학교, 지역사회가 함께 연결되어 아이가 안전하게 회복의 길로 나아가도록 도와주세요.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