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명입찰과 제한경쟁입찰을 함께 적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는 특정 프로젝트나 계약에서 입찰 참가 업체를 제한하면서도, 지정된 업체들 간 경쟁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 지명입찰 + 제한경쟁입찰 적용 사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두 가지 방식이 결합될 수 있습니다:
- 특수 기술이 필요한 프로젝트
- 예를 들어, 첨단 기술이 요구되는 방산·IT·연구개발 분야에서는 참여 업체를 미리 선정(지명입찰)하지만, 그중에서도 일정한 기술력이나 실적을 갖춘 업체만 제한하여 경쟁을 붙일 수 있습니다.
- 공공 프로젝트 및 인프라 사업
- 지자체나 정부 기관이 대형 프로젝트를 발주할 때, 경험이 있는 업체들을 지명입찰로 선정한 뒤, 이들 중 일정 기준을 충족하는 업체들만 경쟁하도록 제한경쟁입찰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 국제 협력 사업
- 특정 국가 또는 기관과 협업하는 프로젝트에서 참여 가능한 해외 업체를 **사전에 지정(지명입찰)**하면서도, 이에 부합하는 **자격을 갖춘 업체들만 경쟁(제한경쟁입찰)**하도록 하는 방식이 있습니다.
- 대형 건설 및 SOC 사업
- 정부가 주요 교량, 터널, 철도 등 대형 인프라 사업을 발주할 때, 검증된 대형 건설사들을 지명입찰로 선정하고, 이에 대해 재무구조, 기술력, 경험 등 추가 기준을 설정하여 제한경쟁입찰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 장점과 단점
📌 장점
- 입찰 업체의 신뢰성과 기술력을 확보할 수 있음
- 입찰 참가자의 자격을 검토하여 경쟁을 유도함
- 계약 품질을 유지하면서도 공정성을 확보할 수 있음
📌 단점
- 경쟁이 제한되므로 가격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음
- 특정 업체에 특혜를 준다는 논란이 발생할 수 있음
이러한 방식은 공공기관이나 대형 기업의 계약에서 자주 활용되며, 특히 기술과 품질이 중요한 경우 적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