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도약계좌 vs 청년희망적금 비교 분석
주요 특징 비교
구분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출시 시기 | 2023년 6월 | 2022년(한시 출시·2025년 말까지 연장) |
적립 기간 | 5년 | 2년 |
월 납입 한도 | 700,000원 | 500,000원 |
총 원금 한도 | 약 42,000,000원 | 약 12,000,000원 |
기본 금리 | 4.0% | 3.5% (예시)※ |
우대 금리 | 최대 +1.0%p (최고 5.0%) | 최대 +1.5%p (최고 약 5.0%)※ |
정부 지원금 | 소득 구간별 차등 지원금 지급 | 저축 장려금 최대 360,000원 지급 |
가입 대상 | 만 19~34세, 가구 소득 ≤72백만원 등 | 만 19~34세, 연소득 하위 70% (≤36백만원) |
세제 혜택 | 별도 공지 없음 | 이자소득 비과세 적용 |
※ 청년희망적금의 기본·우대 금리는 출시 시기 및 금융사별로 차이가 있으므로, 가입 전 반드시 확인이 필요합니다.
상세 비교
가입 기간 및 적립 기간
- 청년도약계좌는 2023년 6월에 출시된 5년 장기 적금 상품으로, 목돈 마련 목표가 있는 청년에게 적합합니다.
- 청년희망적금은 2022년에 한시 출시되어 2025년 말까지 운영되며, 2년 이내에 단기 자금을 모으려는 청년에 맞춰져 있습니다.
월 납입 한도 및 총 적립액
- 청년도약계좌는 최대 월 70만원까지 납입 가능하며, 5년간 꾸준히 불입 시 약 4,200만원을 모을 수 있습니다.
- 청년희망적금은 월 최대 50만원 한도로, 2년 동안 불입하면 총 1,200만원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금리 구조 및 세제 혜택
- 청년도약계좌 기본 금리는 4.0%이며, 추가 우대 조건 충족 시 최대 1.0%p를 더해 연 5.0%까지 적용됩니다.
- 청년희망적금은 기본 금리가 금융사별로 다르나 대략 3.5% 수준이며, 최대 1.5%p 우대 시 최고 5.0%대 금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이 주어집니다.
정부 지원금
- 청년도약계좌는 가입자의 소득 구간(低·中·高)에 따라 차등 지급되는 정부 지원금이 있으며, 이는 매월 납입금액의 일정 비율로 추가 제공됩니다.
- 청년희망적금은 최대 36만원(연간) 상당의 저축 장려금을 한 번에 지급하며, 지원 대상 소득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선택 포인트
- 장기 vs 단기 목표
- 5년간 꾸준히 목돈을 키우고 싶다면 청년도약계좌를, 2년 안에 단기간 자금을 모으고 싶다면 청년희망적금을 고려하세요.
- 지원 대상 및 소득 요건
- 상대적으로 소득 기준이 낮은 저소득층 청년(연소득 ≤36백만원)은 청년희망적금, 다소 넉넉한 소득 한도를 가진 청년(≤72백만원)이라면 청년도약계좌 가입이 가능합니다.
- 총 적립 규모
- 장기 적립을 통해 더 큰 목돈(약 4,200만원)이 필요하다면 청년도약계좌가 유리하며, 최대 1,200만원을 단기에 모으려면 청년희망적금이 적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