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기초연금 소득요건 및 지원금액 완벽 가이드
노인 빈곤 해소와 안정적 노후 생활 보장을 목적으로 시행 중인 기초연금은, 만 65세 이상 어르신이라면 소득·재산 요건을 충족할 경우 누구나 신청할 수 있는 대표적인 복지제도입니다. 2025년에도 소득·재산 인정 기준과 급여액이 일부 조정되었는데요. 아래에서 2025년 기초연금 수급 자격, 소득 인정액 기준, 급여 산정 방식과 지원금액, 신청 절차 및 주의사항까지 모두 확인하세요.
1. 기초연금 제도 개요
- 목적: 만 65세 이상 어르신의 소득 보전과 노후 빈곤 완화
- 법적 근거: 「노인복지법」 제42조 및 시행령·시행규칙
- 지급 주체: 국민연금공단
- 지급 시기: 매월 25일(공휴일·주말인 경우 전 영업일)
- 지급 방식: 어르신 본인 명의 지급 계좌로 입금
2. 2025년 기초연금 수급 자격 요건
- 연령 요건
- 만 65세 이상인 대한민국 국민 및 법령상 거주 외국인
- 소득 인정액 기준
- ‘소득 인정액’이 기초연금 선정 기준액 이하일 것
- 단독가구(1인 가구): 월 최대 (\displaystyle 2{,}280{,}000)원(연금·소득 합산) 이하
- 부부가구(2인 가구): 부부 합산 월 최대 (\displaystyle 3{,}648{,}000)원 이하
- 재산 요건
- 주택·토지·건물·자동차·금융자산 등을 합산한 재산의 소득환산액과 소득환산액이 재산소득 기준액을 초과하지 않아야 함
- 자세한 계산식은 기초연금법 시행규칙에 따름
- 기타
-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는 별도 심사 없이 기초연금 전액 수령 가능
- 공무원연금·군인연금·사학연금 등 공적연금을 이미 받고 있는 경우, 연금액에 따라 급여 삭감이 발생
3. 소득 인정액 산정 방법
소득 인정액은 아래 식으로 산정합니다:
[ \text{소득인정액} = \text{소득평가액} + \text{재산의소득환산액} ]
- 소득평가액: 근로·사업·연금·금융소득 등 실소득을 합산
- 재산의소득환산액: ((\text{재산가액} – 112만원) \times 0.70 \times 0.04\div 12)
- 재산가액 공제: 1인 가구 112만원, 2인 가구 부부 합 168만원 공제 후 계산
예컨대 1인 가구 재산가액이 2,000만원이고 월소득 100만원인 경우, 재산소득환산액은 ((2{,}000-112)\times 0.70\times 0.04\div12\approx4{,}800)원이 추가되며, 최종 소득인정액은 약 104만8천원으로 간주합니다.
4. 2025년 기초연금 지원금액
2025년 기초연금의 만 65세 이상 어르신 1인 가구 최대 지급액(만점)은 월 342,510원, 2인 부부 가구는 세대당 월 546,600원 수준입니다. 다만, 실제 수령액은 소득인정액에 따라 차등 지급됩니다.
- 최대 급여액(소득 0원 가정)
- 단독가구: 342,510원
- 부부가구: 1인당 273,210원(부부 합 546,420원)
- 감액 방식
- 소득인정액이 선정 기준액(단독가구 (\displaystyle 2{,}280{,}000)원, 부부가구 (\displaystyle 3{,}648{,}000)원)을 초과할 경우
- (\text{감액된 급여액} = \text{기초연금 최대급여액} – (\text{소득인정액} – \text{기준액}))
- 감액 후 수급액이 0원 이하가 되면 수급 자격 상실
- 부부가구 우대
- 부부가구는 가구당 급여 상한이 단독가구 170% 수준으로 상향 조정되어, 부부가 합산해 더 많은 급여를 받도록 설계되었습니다.
5. 신청 절차 및 공식 URL
- 온라인 신청
- 국민연금공단 ‘내연금포털’ → 기초연금 신청 메뉴 이용
- 공동인증서·간편인증으로 본인 확인 후 신청
공식 URL:
- 내연금포털: https://www.geps.or.kr
- 복지로 기초연금 안내: https://www.bokjiro.go.kr
- 오프라인 신청
- 주소지 관할 국민연금공단 지사 또는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 신청서·소득·재산 신고서·통장 사본·신분증 지참
- 현장 확인 및 결정 통지
- 현장 방문 조사를 통해 거주·소득실태 확인
- 약 14일 이내 결정 통지서(문자·우편) 발송
- 통지서 수령 후 처음 지급일(다음달 25일)부터 계좌 입금
6. 주의사항 및 꿀팁
- 소득·재산 변동 신고
기초연금은 반기별 소득·재산 변동 사항을 신고해야 급여 삭감·지급 중단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 연금 중복 수급
공무원·군인·사학연금 등 별도 공적연금을 받고 있다면 신청 전 예상 삭감액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 지역·지사별 안내
지방 거주 어르신은 읍·면·동 복지 담당자에게 직접 문의하면 빠른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 국민연금 가입 이력 활용
국민연금 가입이력이 있는 분은 내연금포털에서 자동으로 소득 이력 연동이 되므로 신청 시 일부 서류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2025년 기초연금은 노년층의 안정적 생활을 위한 든든한 버팀목입니다. 위 소득 인정액 기준과 지원금액, 신청 절차를 미리 숙지해 놓으시면 신청과 수령이 한층 수월해집니다. 어르신께서는 빠짐없이 기초연금 혜택을 누려 풍요로운 노후를 보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