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대선일 & 공휴일 완전 정리 + 황금연휴 계산기
2025년 한 해를 스마트하게 계획하려면, 먼저 대선일과 법정 공휴일을 확실히 알아야 합니다. 이어서 ‘황금연휴’를 만들기 위한 휴가 계산법까지 정리해 드리니, 1월부터 12월까지 알찬 일정 설계에 꼭 활용하세요.
1. 2025년 대선일(투표일)
2025년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통칭 ‘대선’) 투표일은
2025년 6월 3일(화)입니다.
- 사전투표 기간: 2025년 5월 29일(목) ~ 5월 30일(금)
- 투표 시간: 오전 6시 ~ 오후 8시
- 대상: 만 18세 이상 대한민국 국민 (2007년 6월 4일 이전 출생자)
2. 2025년 법정 공휴일 목록
2025년 공식 공휴일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총 15일(대체휴일 포함 시 16일), 일요일·토요일 제외한 평일 휴가 계획에 활용하세요.
날짜 | 요일 | 이름 | 비고 |
---|---|---|---|
1월 1일 | 수 | 신정 | |
1월 29~31일 | 수~금 | 설날 연휴 | 대체공휴일 없음 |
3월 1일 | 토 | 삼일절 | |
5월 1일 | 목 | 근로자의 날 | 법정 공휴일 아님 |
5월 5일 | 월 | 어린이날 | |
5월 15일 | 목 | 석가탄신일 | 대체공휴일 없음 |
6월 6일 | 금 | 현충일 | |
8월 15일 | 금 | 광복절 | |
10월 3일 | 금 | 개천절 | |
10월 9일 | 목 | 한글날 | |
12월 25일 | 목 | 성탄절 |
- 설날·추석 연휴는 대체공휴일 제도 미적용
- **근로자의 날(5월 1일)**은 노동절일 뿐, 법정 휴일이 아님
- 주말과 겹칠 경우 자동 대체공휴일 없음
3. 2025년 황금연휴 계산기
“어디서 며칠 쉬면 최대로 긴 연휴가 될까?”
아래 3대 연휴를 예시로 휴가 일수를 계산해 보세요.
3.1 설날 연휴 (1월 29~31일)
- 공식 휴일:1월 29(수)·30(목)·31(금) = 3일
- 추천 휴가:1월 27(월), 28(화) = 2일
- 실사용 일수:1월 25(토) ~ 2월 2일(일) = 9일 연속 휴무
3.2 어린이날·석가탄신일 연쇄 휴일
- 어린이날:5월 5일(월)
- 석가탄신일:5월 15일(목)
- 사이 공백일 휴가:5월 6일(화) ~ 5월 14일(수) = 9일 휴가(추가 공휴 없음)
- 실사용 일수:5월 3일(토) ~ 5월 18일(일) = 16일 연속 휴무
3.3 추석 연휴 (9월 7~9일)
- 공식 휴일:9월 7(일)·8(월)·9(화) = 3일
- 추천 휴가:9월 4(목)·5(금), 9월 10(수)·11(목) = 4일
- 실사용 일수:9월 4일(목) ~ 9월 14일(일) = 11일 연속 휴무
4. “내가 쓸 수 있는 연차 일수” 계산기
휴가 신청 전, 남은 연차 일수를 계산해 보세요.
- 연차 총 부여 일수: 통상 15일
- 이미 사용한 연차: 예) 5일
- 남은 연차 = 총 부여 일수(15) - 사용 연차(5) = 10일
남은 10일을 위 황금연휴 예시 중 원하는 곳에 분배하면,
- 설날 연휴 최대화:2일
- 어린이날~석가탄신일:9일
- 추석 연휴 확대:4일
등 전략적 배분이 가능합니다.
5. 팁 & 주의 사항
- 휴가 신청 시 부서장·인사팀과 일정 조율 필수
- 대체공휴일 제도 미적용 연휴에는 공백일 휴가가 유일한 방법
- **근로자의 날(5/1)**은 법정 휴일 아님을 유념
- 연내 남은 연차와 분기별 가용 연차를 주기적으로 확인해 두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