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기준, 대한민국에서 출산한 가정이 받을 수 있는 **“첫만남이용권 + 지역 출산축하금 + 양육수당(부모급여)”**를 통합 정리한 표입니다.
특히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서울·경기·부산 주요 시/구청을 기준으로
정책별 지급 금액, 조건, 신청처, 지급 형태 등 구체적으로 설명드릴게요.
👶 2025년 대한민국 시/구청별
첫만남이용권 + 출산축하금 + 양육수당 통합 정리표
✅ 1. 전국 공통 – 첫만남이용권
구분 내용
지급액 | 출생아 1명당 200만 원 (일시불) |
지급방법 | 국민행복카드 포인트로 지급 (국민·신한·농협 중 택 1) |
사용기한 | 출생일로부터 12개월 내 사용 (사용처 제한 일부 있음) |
사용처 | 유아용품점, 병원, 육아교육비, 대형마트 등 (유흥업소, 주류 구매 등 불가) |
신청처 |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 |
필요서류 | 출생신고 완료 → 신청서, 신분증, 통장사본 등 |
✅ 전 국민 공통 제공
✅ 지역 출산축하금과 중복 수령 가능
✅ 2. 전국 공통 – 양육수당 / 부모급여 (영아수당)
자녀 연령 부모급여 금액 (가정양육 시) 어린이집 이용 시
만 0세 | 월 100만 원 | 어린이집 보육료 대체 (월 51.7만 원 수준) |
만 1세 | 월 50만 원 | 보육료 대체 (월 27.9만 원 수준) |
🔹 부모가 자영업자/직장인 여부 관계 없이 지급
🔹 신청 후 본인 계좌로 매월 25일경 지급
🔹 사용처 제한 없음 (자유사용)
📌 신청처: 복지로 또는 읍면동 주민센터
✅ 3. 주요 시·구청별 출산축하금 + 지역 지원금 비교표
※ 첫만남이용권, 부모급여는 전국 공통이므로, 여기서는 지역별 “추가지원”에 집중합니다.
🔷 서울특별시 주요 자치구
자치구 첫째아 둘째아 셋째 이상 지급 형태 비고
강남구 | 30만 원 | 50만 원 | 100만 원 | 계좌 입금 | 6개월 이상 거주 필요 |
송파구 | 30만 원 | 50만 원 | 100만 원 | 현금 | 출산일로부터 1년 내 신청 |
동작구 | 20만 원 | 30만 원 | 100만 원 | 현금 | 셋째 이상부터 확 높음 |
중구 | ❌ | ❌ | 100만 원 | 현금 | 셋째 이상만 지원 |
은평구 | 20만 원 | 40만 원 | 80만 원 | 지역사랑상품권 | 관내 거주 기준 |
강북구 | 10만 원 | 20만 원 | 30만 원 | 지역화폐 | 소액이나 신청 쉬움 |
✅ 서울 전체 공통사항
- 출산축하금은 구마다 다르며, 대부분 현금 or 서울사랑상품권 형태
- 중복 수령 가능: 첫만남이용권 + 양육수당 + 구청 출산축하금
- 신청은 출생신고 후 1개월 내 주민센터 방문 권장
🔶 경기도 주요 시
시 첫째아 둘째아 셋째 이상 지급 형태 특이사항
고양시 | 50만 원 | 70만 원 | 100만 원 | 현금 | 출산 전후 1년 이상 거주 |
수원시 | 30만 원 | 50만 원 | 100만 원 | 현금 | 정부지원과 별도 신청 |
시흥시 | 50만 원 | 100만 원 | 300만 원 | 지역화폐(시루) | 전국 최고 수준 |
성남시 | ❌ | 30만 원 | 100만 원 | 현금 | 셋째 이상만 명확 지원 |
용인시 | 30만 원 | 50만 원 | 100만 원 | 지역화폐(용인와이페이) | 지역 내 사용만 가능 |
의정부시 | 20만 원 | 40만 원 | 100만 원 | 현금 | 거주 기간 확인 필수 |
✅ 경기지역 공통사항
- 대부분 경기지역화폐 또는 현금 지급
- 첫만남이용권과 완전 별개
- 지역화폐 사용처 제한 있음 (지역 내 가맹점만 가능)
🔷 부산광역시 주요 구
구 첫째아 둘째아 셋째 이상 지급 형태 비고
해운대구 | 100만 원 | 150만 원 | 200만 원 | 현금 | 거주 6개월 이상 요건 |
북구 | 50만 원 | 100만 원 | 150만 원 | 현금 | 신청 후 1개월 내 지급 |
연제구 | 20만 원 | 40만 원 | 80만 원 | 계좌 입금 | 출생신고 후 신청 필수 |
사하구 | 30만 원 | 50만 원 | 100만 원 | 지역화폐 | 부산페이 지급 |
기장군 | 70만 원 | 100만 원 | 200만 원 | 현금 | 농촌 지역 출산 장려 확대 |
✅ 부산 공통 사항
- 출산축하금이 높은 편 (해운대, 기장군 등)
- 첫만남이용권 + 부모급여 + 지역축하금 모두 가능
- 대부분 현금 + 지역화폐 혼합 형태
✅ 통합 요약 비교
구분 서울 경기 부산
평균 첫째아 축하금 | 20~30만 원 | 30~50만 원 | 30~70만 원 |
둘째아 | 40~50만 원 | 50~100만 원 | 50~150만 원 |
셋째 이상 | 100만 원 내외 | 100~300만 원 | 100~200만 원 |
부모급여 | 0세: 월 100만 원 / 1세: 월 50만 원 (공통) | ||
첫만남이용권 | 자녀 1인당 200만 원 (공통) |
✅ 필수 신청 TIP
- 📌 첫만남이용권은 출생신고와 동시에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에서 신청
- 📌 부모급여는 ‘아이를 어린이집 보내지 않고 키울 경우’ 현금 지급
- 📌 출산축하금은 시/구청별로 신청기한 다름 (보통 6개월 이내)
- 📌 지역화폐는 반드시 해당 앱 설치 후 등록 필요 (고양페이, 시루 등)
📞 지역별 대표 문의처
지역 전화번호
서울 다산콜센터 | ☎ 120 |
경기도 콜센터 | ☎ 031-120 |
부산시청 복지상담센터 | ☎ 051-888-1561 |
복지로 고객센터 | ☎ 129 |
정부24 | ☎ 1588-218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