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긴급복지 생계지원금 신청 자격·절차

 

2025 긴급복지 생계지원금 신청 자격·절차

2025년 한 해 긴급복지 생계지원금 신청 자격과 절차를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갑작스러운 실직·휴업·질병 등 위기사유 발생 시, 신청 방법부터 지원 금액·기간까지 빠르고 정확하게 확인하세요.


신청 자격

  1. 위기사유 발생 가구
    • 코로나·산재·질병·실직 등으로 소득이 1개월 이상 급감한 가구
    • 중증 질환 치료, 가정폭력·화재 등 긴급 상황에 처한 경우
  2. 소득·재산 기준
    • 기준 중위소득 75% 이하 가구(4인 기준 월소득 약 374만 원 이하)
    • 금융재산·부동산·자동차 등 재산 합계액 2.88억 원 미만(4인 가구)
  3. 지원 대상 범위
    • 실직자, 휴·폐업자, 폐업 소상공인
    • 휴·폐업 예비 자영업자
    • 장기 입원·중증 질환 가구
    • 가정폭력·화재·실종·기타 위기 상황 가정
  4. 결합 지원
    • 긴급 생계지원 외에 주거·의료·교육비 등 긴급복지 통합 지원 가능

신청 절차

  1. 사전 상담 및 접수
    • 읍·면·동 주민센터 또는 시·군·구청 복지정책과 방문
    • 전화 상담: 129 보건복지콜센터 또는 해당 주민센터 문의
  2. 서류 제출
    • 신청서(주민센터 비치)
    • 위기사유 증빙 자료
      • 실직 증명서·해고 통보서
      • 진단서·입원 확인서
      • 사업자 휴·폐업 신고서
      • 화재·폭력 피해 확인서 등
    • 소득·재산 관련 서류
      •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 급여 명세서, 통장 거래 내역서
      • 금융·부동산 등기부등본, 자동차 등록증
  3. 가구 조사 및 심사
    • 사회복지공무원 또는 방문 상담원이 가구 방문
    • 소득·재산 실태조사 및 위기사유 확인
    • 구비서류 보완 요구 시 7일 이내 제출
  4. 지원 결정 및 지급
    • 심사 완료 후 지원 대상자에 문자·우편 통지
    • 현금(계좌입금) 또는 상품권 형식으로 즉시 지급
    • 4인 가구 기준 한 달 생계비 약 160만 원∼200만 원 수준 지원
    • 지원 기간: 최대 3개월, 상황에 따라 연장 가능
  5. 사후관리
    • 지원 후 2~3개월 내 재조사
    • 가구 사정 변화 시 추가 지원 또는 중지 결정

지원 금액 예시

가구원 수 기준 중위소득 75% 월평균(원) 최대 지원액(월)
1인 가구 1,794,010 80만~100만 원
2인 가구 2,485,400 120만~140만 원
3인 가구 3,187,700 160만~180만 원
4인 가구 3,890,000 200만~220만 원

※ 실제 지원액은 가구별 소득·재산·위기사유를 종합 산정해 결정됩니다.


관련 공식사이트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