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신혼부부 주거지원 정책 총정리

2025 신혼부부 주거지원 정책 총정리

2025년 신혼부부를 위한 주택구입·전세자금·공공임대주택 지원 정책을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주요 지원 내용, 자격 요건, 신청 절차와 준비 서류, 유의사항까지 확인하세요.


2025 신혼부부 주택구입 금융 지원

  • 특례 보금자리론
    · 대상: 혼인신고 7년 이내 신혼부부
    · 금리: 연 1.20% (6월 기준)
    · 한도: 최대 3억원(수도권 기준)
  • 디딤돌 대출 신혼부부 특례
    · 금리: 연 1.30% ~ 1.50%
    · 소득 기준: 부부 합산 연소득 7,000만원 이하
    · LTV/DTI 우대율: 최대 70%/60%

2025 신혼부부 전세자금 대출 지원

  •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 금리: 연 1.00% ~ 1.20%
    · 한도: 최대 1.5억원
    · 자격: 부부 합산 월소득 500만원 이하 가구
  • 신혼부부 전세특례보증
    · 보증료 감면: 0.20% → 0.15%
    · 한도: 최대 2억원
    · 보증 기간: 최장 20년

2025 신혼부부 공공임대주택 특별공급

  • 신혼희망타운
    · 공급 물량: 서울·경기 3만 호 예정
    · 전용 면적: 51~59㎡ 위주
    · 우선순위: 예비신혼부부 → 신규신혼부부
  • 행복주택 신혼부부 물량
    · 전용 60㎡ 이하
    · 소득·자산 기준 완화
    · 보증금 인상 폭 5% 이내 제한

정책별 지원 대상 및 신청 자격

프로그램 지원 대상 소득 기준 자산 기준
보금자리론 특례 혼인 7년 이내 무주택 신혼부부 부부 합산 연소득 7,000만원 이하 총자산 3.5억원 미만
디딤돌 대출 특례 혼인 7년 이내 무주택 주택 구입자 부부 합산 연소득 7,000만원 이하 총자산 3.5억원 미만
버팀목 전세대출 만 19~39세 신혼부부 및 예비신혼부부 부부 합산 연소득 5,000만원 이하 총자산 2.88억원 미만
전세특례보증 혼인 신고 후 전세계약 체결 예정자 무주택 세대주 보증금 2억원 이하
신혼희망타운 예비신혼부부·신규신혼부부·한부모가족 중위소득 120% 이하 총자산 3.2억원 미만
행복주택 만 19~39세 이하 신혼부부 무주택 세대주 총자산 2.5억원 미만

온라인 신청 방법 및 준비 서류

  1. 금융지원 대출(보금자리론·디딤돌)
    • 한국주택금융공사 HF누리(www.hf.go.kr)
    • 온라인 회원가입 → 지원 프로그램 선택 → 소득·자산 정보 입력 → 서류 업로드
  2. 전세자금 대출(버팀목·전세특례보증)
    • 주택도시보증공사 HUG 전세보증(www.kihug.or.kr)
    • 자가진단 → 보증 신청 → 계약서·증빙자료 제출
  3. 공공임대주택 특별공급
    • LH청약센터(apply.lh.or.kr)
    • 청약 신청 → 자격 확인 → 배정
  4. 준비 서류
    • 혼인관계증명서·예비신혼 확인서
    • 주민등록등본(가구원 전원 기재)
    • 소득증빙(원천징수영수증·건보료 납부확인서)
    • 자산증빙(부동산 등기부등본·자동차 등록증)
    • 전세계약서 사본(전세대출 시)

기타 혜택 및 유의사항

  • 취득세 감면: 신혼부부 주택구입 시 최대 50% 감면(지자체별 상이)
  • 지자체 추가 지원: 서울·경기·부산 등 주요 광역시에서 이자 우대 및 전세보증금 추가 지원
  • 우선매입형 임대주택: 신혼부부 전용 매입임대 주택 공급 확대
  • 중복 수혜: 보금자리론 우대금리와 신혼희망타운 특별공급 동시 활용 가능
  • 유의사항:
    · 대출 한도·이자 부담·상환 계획을 반드시 비교 분석
    · 금융규제(DSR·LTV) 변동 여부 확인
    · 혼인 기간 경과 시 일부 프로그램 신청 제한

관련 공식사이트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