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하반기 소상공인 정책자금 지원 총정리
저금리·장기상환·맞춤형 지원으로 사업 숨통 트이기
1. 2025 하반기 정책자금 개요
2025년 하반기에는 총 9종의 맞춤형 정책자금이 운영됩니다.
운영비·인건비 등 경영안정형, 재해·위기 대응 긴급형, 재창업·청년고용·설비투자 등 성장형까지 상황별 선택이 가능하죠.
최대 10억 원까지 저금리(연 2~3%대)로 지원받을 수 있어, 자금난 해소에 큰 도움이 됩니다.
2. 정책자금별 비교표
자금명 지원대상 한도 금리·기간 주요 용도
일반 경영안정자금 | 모든 소상공인 | 최대 7천만 원 | 연 3.39%, 5년(거치 2년) | 운영비·인건비 |
긴급 경영안정자금 | 재해·매출급감 | 최대 3억 원 | 고정 2.00~2.79%, 5년 | 재해·위기 대응 |
장애인기업 지원자금 | 장애인 사업자 | 최대 1억 원 | 약 2.00%, 7년 | 장기 안정 경영 |
신용취약 소상공인 자금 | 저신용+교육이수 | 최대 3천만 원 | 연 3% 내외, 5년 | 신용회복·운영비 |
재도전 특별자금 | 재창업·채무조정 이수 | 7천만~1억 원 | 연 3% 내외, 5년 | 폐업 후 재기 |
청년 고용 연계자금 | 청년대표·청년고용 | 최대 7천만 원 | 연 2.79% 내외, 5년 | 청년 고용 유지 |
소공인 특화자금 | 제조업 12인 미만 | 운전 1억 / 시설 5억 | 운전 5년, 시설 8년 | 설비·생산성 향상 |
혁신성장 촉진자금 | 성장·수출·백년가게 | 최대 10억 원 | 연 3.19% 내외, 5~8년 | 고도 성장·수출 |
민간투자형 연계자금 | 투자유치 사업장 | 투자금 5배, 최대 5억 | 8년 | 민간투자 연계 |
3. 신청 절차 인포그래픽 가이드
[1단계] 자금 선택
↓
[2단계] 자격 요건 확인
- 업종, 매출, 신용점수, 창업기간, 교육이수 여부
↓
[3단계] 서류 준비
- 사업자등록증, 재무제표, 고용·매출 증빙
↓
[4단계] 온라인 신청
- 소상공인 정책자금 누리집(ols.sbiz.or.kr)
- 소상공인24(sbiz.or.kr)
↓
[5단계] 상담·심사
-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지역센터
↓
[6단계] 대출 실행
- 협약은행 통해 자금 집행
4. 신청 시 유의사항
- 중복수혜 불가: 여러 자금 계획 시 우선순위 설정 필수
- 교육 필수 자금: 재도전·신용취약자금은 사전 교육 이수 필요
- 거치·상환기간: 사업 현금흐름에 맞춰 선택
- 지자체 병행 지원: 경영환경개선·디지털화 지원과 함께 활용 시 효과 극대화
5. 하반기 추가 지원사업 예시
- 부담경감 크레딧: 최대 50만 원 바우처 (연매출 0~3억 원)
- 배달·택배비 지원: 최대 30만 원 (실적 보유 시)
- 특별보증 확대: 최대 1억 원 이상 (중저신용자 포함)
6. 활용 팁
- 저금리·장기상환 자금부터 우선 확보
- 지자체 사업은 예산 소진 전 조기 마감 가능 → 공고 즉시 신청
- 정책자금+지자체 지원 병행으로 자금 여력 극대화
-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상담(1533-0100)으로 맞춤형 추천 가능
7. 마무리
2025 하반기 소상공인 정책자금은 경영 안정과 성장을 동시에 지원하는 든든한 버팀목입니다.
내 사업 상황에 맞는 자금을 골라, 저금리·장기 혜택을 최대한 활용하세요.
특히 재도전·청년고용·설비투자 분야는 경쟁률이 높으니, 서류 준비와 신청 타이밍이 관건입니다.